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173

러시아의 현대 연극 거장 안톤 체홉과 그의 대표작들 안톤 체홉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활동한 러시아의 극작가입니다. 그는 현실주의적인 접근을 활용하여 사람들의 내면과 사회를 미각적으로 표현했습니다. 대표작품 세자매 : 1901년에 발표된 이 작품은 삶의 무의미함과 변화에 대한 갈망,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른 인간의 운명을 다룹니다. 이 작품은 세 자매와 주변 인물들의 삶의 무의미함, 갈망,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대한 복잡한 갈등을 다루며, 이를 통해 현대 사회의 모순과 인간의 운명을 노골적으로 보여줍니다. 작품 내 세 자매는, 모두 고향을 그리워하며 그곳에 돌아가고 싶은 갈망을 품고 있습니다. 이로써 작품은 변화와 일상의 단조로움에 대한 불만과 현실적인 한계를 체감하는 현대인의 정서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또한, 체홉은 캐릭터들의 내면적인 갈.. 2023. 8. 19.
무대의 종류 및 특성(프로시니엄 무대, 원형 무대, 돌출 무대, 블랙박스) 무대의 특성에 따라 극의 분위기가 바뀌고, 연출자가 관객들로 하여금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극장은 대부분이 프로시니엄 무대로 이루어져있는데, 그 이유는 상당수의 공연들이 환영을 이루고자 하는 극의 특성을 띄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많은 연출가들과 예술가들은 새로운 시도를 위해 극장을 변형시키거나, 무대 위를 사용한다거나, 객석과 무대를 바꾸는 수많은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모두 무대의 특성을 활용한 예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프로시니엄 무대 객석과 무대를 구분하는 액자형 틀이라고 정의합니다. 가변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옆조리개와 윗조리개를 활용하여 주무대의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프로시니엄은 무대가 갖는 제 4의 벽으로, 관객과 접하는 .. 2023. 8. 17.
베르톨트 브레히트 생애와 작품, 낯설게하기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독일의 극작가 겸 연출가로서 그의 생애와 작품은 연극과 문학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주로 사회적, 정치적 주제를 다루는 작품을 썼으며, 그의 연극 스타일과 철학적 견해는 브레히트 연극이라는 고유한 장르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었습니다.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생애 브레히트는 독일의 오겐 부르크에서 태어났으며, 철학과 의학을 공부하였습니다. 그러나 연극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1920년대 연극계에 등장했습니다. 그는 나치 정권의 위협을 받아 유럽을 떠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연극을 이끌어 나가기도 했습니다.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연극 철학과 영향 브레히트 연극은 "양식적 연극"에 반대하는 형식을 추구합니다. 그는 극단을 창립하여 배우들이 캐릭터에 감정적으로 물들지 않고, 관객.. 2023. 8. 13.
르네상스 시대 대표작가 & 대표연극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 피에르 파올로 베르제리오(1370~1445) : 「파울루스」(pAULUS, 1350) 알베르티노 무사토(1261~1329) :「에체리누스」(eCCERINUS, C. 1315) 루두비코 아리오스토(1474~1553) : 「바뀌어진 아이들」(I Suppositi, 1509), 「라 카사리아」(LAcassaria, 1513) 비비에나의 베르나르도 도비지 주교(1470~1520): 「라 칼란드리아」(La Calandria, 1513) 지안지오르지오 트리시노(1478~1550) : 「소포니스바」(Sofonisba, 1515), 「이 시밀리미」(I Simillimi, 1547) 지암바티스타 지랄디 첸티오(1504~1574) : 「오르베체」(Orbecche, 1541) 토르카토 타소(1544~.. 2023. 8. 8.
대표작가 & 대표작품 , 그리스 로마 연극 아에스킬루스(525~425 B.C.) 「탄원자들」(The Supploiants, C. 490 B.C. 이후) 「페르시아인」(The Persians, C. 472 B.C.) 「테베에 대항하는 칠인들」(Seven Against Thebes, C. 469 B.C.); 「결박된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Bound, C. 460 B.C.) 「오레스테이아 3부작」(The Oresteia, 458 B.C.) 「아가멤논」,「제주를 받치는 여인들」,「유메니데스」 소포클레스(C. 496~406 B.C.) 「에이작스」(Ajax c. 450~440 B.C.) 「안티고네」(Antigone, c. 441 B.C.) 「오이디푸스왕」(KIng Oedipus, c. 430~425 B.C.) 「엘렉트라」(Electra, c. .. 2023. 8. 6.
선택적 사실주의, 아서밀러와 테네시 윌리엄스 사실주의는 1945~1975년 사이에 끊임없이 의문을 받았지만, 사실주의가 연극에 유효함은 명백했다. 한 가지 좋은 징후는 그 당시 미국에서 퓰리처상을 수상한 대부분의 작품들이 사실주의극이었다는 사실이다. 선택적 사실주의 전후의 뛰어난 미국 극작가인 아서밀러와 테네시 윌리엄스는 사실주의 작품들을 썼지만, 다른 사항들은 생략하면서 특정 행동과 장면과 대화의 세부 사항들을 강조하는, 일종의 사실주의인, 선택적 사실주의(selective realism) 작품으로 성공한 작가였다. 예를 들어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밀러는 윌리 로먼의 몰락을 상징화한 도태한 물질적 요소의 세상으로 강조한다. 그 무대는 완전히 자연주의적인 것은 아니다. 과거의 장면들은 윌리 로만의 관점을 번번하게 제시된다. 그러나 연극 무대는 인.. 2023. 8. 4.
해롤드 핀터, 위협희극 해롤드 핀터(Harold Pinter, 1930 ~ 2008)는 영어권에서 선두적인 부조리 극작가이다. 그는 자신의 희곡에 어떤 일이 왜 벌어지는지 또는 등장인물의 정체가 무엇인지를 설명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 왜냐하면 그 인물이 극 중 세계에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인 것이다. 해롤드 핀터 그는 런던의 이스트엔드에 위치한 학교에서 시를 쓰기 시작했었지만, 최초 직업의 선택은 연기였다. 그는 한동안 영국의 최고의 연극교육기관인 로열 연극 아카데미에 다녔으며, 연설과 연극 전문 중앙 학교에서 학업을 마치고, 데이비드 바론이라는 가명으로 직업적으로 연기를 했다. 극작가로서 핀터의 데뷔는 우연한 것이었다. 그는 브리스톨 대학 연극과에 있는 친구에게 희곡에 대한 구상을 언급한 적이 있다. 친구는 핀터의.. 2023. 8. 3.
사뮈엘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 그리고 부조리극 1945년 ~1975년까지의 30년간은 연극의 격동기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전위적인 경향(아방가르드)들이 연이어 등장하면서 실험극이 급증했고, 이러한 움직임들은 우리 시대와 너무 근접해 있어서 우리가 그것들의 역사적 중요성을 결론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 그러나 이미 확립된 연극과 희곡의 형식들은 도전받고 개조되었으며, 더구나 부조리극이나 환경 연극과 같은 운동들은 희곡과 연극의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정의를 확실하게 이끌어냈다. 사뮈엘 베케트 사뮈엘 베케트(Samuel Beckett, 1906~1989)는 가장 유명한 부조리극 작가이다. 그의 희곡들은 일상의 단조로움, 인간의 행동의 무익함과 인간들 간의 의사소통의 불가능을 다룬다. 이야기 구성, 언어와 등장인물들 그 자체가 부조리해 보인다. 이와 같이.. 2023.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