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은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높아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말합니다.
혈액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보낼 때 가장 높은데, 이때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또한 심장이 늘어나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가장 낮은데, 이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은 교감 신경에 의한 신경성 요인 및 레닌-안지오텐신 기전에 의한 체액성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러나 유전, 흡연, 남성, 노령화는 고혈압 유발을 촉진하는 요인이 됩니다.
고혈압의 90% 이상은 본태성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나머지 5~10%는 원인이 명확한 이차성 고혈압에 해당합니다. 고혈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본태성 고혈압은 한가지 원인에 의해 유발되지는 않습니다. 여러가지 요인이 모여서 고혈압을 일으키는데, 이 중에는 가족력이 가장 흔하며, 그 외에 노화, 비만, 짜게 먹는 습관,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고혈압을 유발하는 요인
- 가족력(유전)
- 흡연
- 고지혈증
- 당뇨병
- 노화(60세 이후 노년층)
- 성별(남성 및 폐경 이후 여성)
- 식사성 요인: 나트륨, 지방, 알코올 과잉섭취 및 칼슘, 마그네슘, 칼륨 섭취 부족
- 약물 요인 : 경구피임약, 제산제, 항염제, 식욕억제제
이처럼 고혈압을 유발하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가족력이나 성별에 관련된 것은 우리가 어찌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부분들(금연, 식단, 약물억제 등)에 대해 관리를 하는 것이 고혈압을 피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방법으로 사료됩니다.
증상 및 진단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로 인하여 신체검사나 진찰 중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로 인해 고혈압은 '소리 없는 죽음의 악마' 라고 불리는 것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혹 증상이 있어서 병원을 찾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증상에 대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고혈압 증상
두통 및 어지럼증
두통 혹은 어지럼증은 혈압 상승에 의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평소에 두통 혹은 어지럼증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갑작스러운 두통 및 어지럼증으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겪으신다면, 고혈압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코피나 혈뇨
코피 혹은 혈뇨의 증상은 고혈압 환자의 전조증상일 수 있습니다. 만약 갑작스럽게 코피가 자주 나게된다거나, 혈뇨를 동반한다면 고혈압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시력저하
고혈압은 동맹경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로 인해 고혈압망막증을 일으킵니다. 이는 망막혈관에 최초로 나타나는 고혈압의 영향으로 동맥이 가늘어지는 협소화 현상으로 인한 것 입니다. 눈이 갑작스럽게 뿌옇게 보인다거나 시력이 나빠진다면 고혈압을 의심해볼 수 있으며, 안저검사를 동반하는 것이 좋습니다.
뇌혈관 장애
고혈압이 있으면 혈관 내 압력이 높아지면서 혈관 벽이 손상하게 됩니다. 그 손상된 혈관 벽에 나쁜 단백질과 중성지방이 쌓이면서 혈관이 좁아지게 되는 것 입니다. 그로 인해 뇌로 가는 관류를 감소시키며, 또한 뇌 내 혈전증 또는 동맥 폐색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협심증
마찬가지로 혈압은 동맹경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고혈압이 있으면 혈관 내 압력이 높아지면서 혈관 벽이 손상하게 됩니다. 그로 인하여 협심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혈압 진단
구분 | 수축기 혈압 | 확장기 혈압 |
정상 혈압 | 120mmHg 미만 | 80mmHG 미만 |
고혈압 전 단계 | 120~139mmHg | 80~89mmHg |
1기 고혈압(경도 고혈압) | 140~159 mmHg | 90~99 mmHg |
2기 고혈압(중등도 이상 고혈압) | 160 mmHg 이상 | 100 mmHg 이상 |
고혈압은 처음 측정한 혈압이 높은 경우에는 1일 간 간격을 두고 최소한 두 번 더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 결과가 이완기 90mmHg 이상 또는 수축기 혈압 140mmHg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혈압을 측정할 때는 앉은 자세에서 5분 이상 안정을 취한 후 왼쪽 팔을 걷고 심장 높이에 두고 측정해야 합니다. 측정 전 30분 이내에 담배나 카페인 섭취를 피해야하며, 혈압은 2분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느넫, 2회의 기록이 5mmHg이상 차이가 나면 한 번 더 측정합니다. 고혈압을 진단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24시간 보행 혈압 감시 검사를 시행하는 것 입니다. 24시간 평균 혈압이 수축기 135 mmHg 이상이거나, 24시간 평균 이완기 혈압이 95 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치료 방법
최근에는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해 비약물적 요법과 약물적 요법을 함께 실시하고 있습니다.
고혈압 전 단계는 체중조절, 식사 요법, 행동 수정, 규칙적인 운동 실시 등 비약물 요법을 시행합니다.
고혈압으로 진단 시 반드시 약물을 이용해 혈압을 정상화 시키며, 금연 및 식단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은 병행합니다,.
식단
- 밥은 쌀밥이 아닌 현미, 보리 등을 섞은 잡곡밥을 섭취합니다.
- 고기, 두부, 생선 등의 단백질 반찬을 골고루 섭취하되 고기는 기름기와 껍질을 제거하여 살코기로 섭취합니다.
- 채소는 제철 채소를 먹는 것이 좋으며, 장아찌, 김치 등의 염장 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간식은 정규 식사 사이에 제철 과일과 저지방 우유 등을 섭취합니다.
- 전체적인 조리 방법은 지방 섭취를 줄이기 위해 굽기, 찜, 삶는 방법을 택하며 식물성 기름은 사용해도 좋습니다.
- 염분량을 제한합니다.
규칙적인 운동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체중을 조절하는 것은 정말 중요합니다. 땀을 흘려 노폐물을 배출하고, 체내에 있는 불필요한 지방을 태움으로 인해 건강한 육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은 스트레스 해소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됩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 및 고혈압에도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금연
흡연은 만병의 근원입니다. 실질적으로 흡연으로 인해 사람은 암을 유발하는 물질들을 흡입하게 되고, 그 물질을 정화하기 위해 수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기도 합니다. 또한 담배 1개비 흡연 시 사람의 혈압은 평균 수축기 6mmHg와 이완기 4mmHg가 상승하게 됩니다.
'건강 >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간의 원인과 증상 관련 질병 그리고 식이요법 (0) | 2023.10.11 |
---|---|
당뇨병 초기증상 및 수치 : 당뇨에 좋은 음식과 영양제 총정리 (2) | 2023.10.06 |
중성지방 정상수치 및 낮추는 법(중성지방에 관한 질병) (1) | 2023.10.04 |
제로콜라(아스파탐 음료) 부작용 및 당뇨에 미치는 영향 (1) | 2023.09.10 |
당뇨병의 유형 및 원인 그리고 예방법 (0) | 202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