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예술/연극사

19세기 희곡(낭만주의,멜로드라마,잘짜여진극)

by #조디찬 2023. 7. 21.

1800년에서 1875년 사이에 부각되기 시작한 희곡의 주된 3가지 형태

  • 낭만주의
  • 멜로드라마
  • 잘 짜여진 극

낭만주의와 멜로드라마는 단순한 연극의 양식 이상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낭만주의란 연극 제작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철학과 문학 운동이었다. 그리고 멜로드라마는 주요한 극제작 양식으로 오늘날까지도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낭만주의 

낭만주의(romanticism)의 특징 

  • 독일의 슈투름 운트 드랑 운동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 빅토르 위고는 자신의 희곡 '크롬웰'에서 낭만주의극의 특징을 개괄했다. 
  • 낭만주의자들은 신고전주의 법칙을 거부했다.
  • 예술법칙이란 천재들에 의해 창조되는 것이라는 주장을 했다
  • 상당수의 낭만주의자들이 셰익스피어의 삽화적이며 서사적인 구조를 이용했다. 
  • 셰익스피어와의 차이점을 찾는다면 분위기나 환경 창조에 더 흥미를 보였다.
  • 낭만주의 극작가들은 장르의 순수성에 대한 믿음이 없었다.(규범을 거부)
  • 무대공연에 적합한 것이라면 이상적인 것에서 기괴한 것에 이르는 모든 것을 주제의 대상으로 고려하고 초자연적인 요소까지도 사용하곤 했다. 
  • 낭만주의적 영웅은 종종 무법자처럼 사회에서 추방당한 존재들로 정의와 지성, 진리 등을 찾아 나선 인물들이었다.
  • 가장 평범한 주제의 하나는 인간이 지닌 영감과 육체적인 한계 사이의 괴리에 관한 것이었다.
  • 낭만주의 연극은 당시의 독립적인 정신에 의해 고취되었다. 또한 자유와 해방의 개념이 천지에 충만했다.
  • 개성과 독립성을 맹렬히 방어하는 영웅적 인물들을 탄생시켰다.

당시 가장 유명했던 낭만극으로는 빅토르 위고의 '에르나니'와 괴테의 '파우스트'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낭만주의의 극작가로 꼽히는 인물은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루드비히 티크, 게오르크 뷔히너 등이 있다. 

뷔히너의 대표작은 '당통의 죽음', '보이첵', '레오나와 레온세'가 있다.

여기서 '보이첵'은 급진적이고 난해한 작품으로 20세기의 자연주의, 표현주의, 그리고 부조리극에 모두 해당될 수 있다.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란 노래극 또는 음악극을 의미하는 하며, 19세기가 시작되는 시기에 프랑스에서 대중성을 획득한 극형식을 의미한다. 

 

멜로드라마의 특징 

  • 대부분의 멜로드라마는 권선징악적이다. 
  • 멜로드라마의 음악은 배경음악을 뜻하므로, 영화의 삽입 음악과 유사한 형태이다.
  • 멜로드라마의 남녀 영웅들은 악당과 분명한 대립관계에 놓여 있는 인물로 묘사된다.
  • 멜로드라마에는 영웅이나 악당 외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다른 고정 인물들이 등장한다.(영웅을 돋보기에 하는 인물)
  • 19세기 멜로드라마의 고정인물들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인물들이나 배우가 특정한 유형의 역할을 소유하는 18세기 극장의 전통인 '전문연기'에 비교될 수 있다. 
  • 멜로드라마는 시대를 초월하여 관객들의 흥미를 끌기 위한 일환으로 각 막이 절정의 순간으로 끝나도록 서스펜스가 넘치는 플롯을 택한다. 
  • 멜로드라마는 주로 현실도피적인 것이므로, 시각적 스펙터클과 특수효과를 강조한다.
  • 가정비극은 연속극이 되었고, 개척 멜로드라마는 서부극이 되었다. 
  • 범죄 멜로드라마는 대중적인 미스터리물이나 탐정물로 변모했다.
  • 오늘날 수많은 멜로드라마들 속에도 연극의 주요한 변화들은 내재되어 있다.

잘 짜여진 극 

19세기 인기 멜로드라마의 상당수가 소위 잘 짜여진 극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잘 짜여진 극의 특징 

  • 탁월한 기교를 보여주는 작품
  • 주도면밀한 인과 관계의 발전을 강조했으므로 대개 극이 긴밀한 구성을 이루는 위기극의 형식을 띠었다.
  • 극적 아이러니 기법을 사용했다.
  • 극이 개막되면서 필수적인 배경 정보와 설명들은 신중하고도 상세하게 제시된다.
  • 극적 행위는 극의 전체적인 진행을 통해 분명하게 예시되고 개별 막은 절적의 순간을 향해 구축된다.
  • 필수장면에서 갈등상태에 처하게 되는 등장인물들은 최후의 대결에 직면하게 된다. 
  • 잘 짜여진 극에서는 편지나 분실한 문서 등이 극행위의 동기를 유발하는 장치로 쓰인다. 
  • 사실적인 주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 작품들은 사실적인 무대 몸짓을 강조하고 실제 사회관계를 다루기 때문에 '찻잔과 종지의 연극' 또는 '버터 바른 빵 연극'이라고 불린다. 
  • 헨릭 입센에게 영향을 미쳐 그가 현대 리얼리즘 연극의 창시자라는 명칭을 얻게 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