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예술66

영국 왕정복고기의 극장 왕정복고기의 극장 행정당국과 극장 왕정복고기에 행정당국의 규제는 연극제작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였다. 1660년 청교도들에 의해서 폐쇄되었던 극장이 재개되었을 때 엘리자베스 여왕 통치 시대부터 설정되어 온 극장감독에 관련된 법률들이 다시 법제화되었다. 엘리자베스 시대에는 향연주사(master of revels)가 모든 권환을 가지고 연극산업을 세 단체에게 허락해 주었다. 그러나 찰스 2세는 모든 권한을 윌리엄 대버넌트와 토마스킬리그루에게 주었다. 18세기 초엽에 이르자 이러한 극장독점은 더 이상 위세를 떨치지 못하게 된다. 찰스 2세 후대의 군주들은 독점권의 예외규정을 만들었으며, 몇몇 극단들은 고리타분한 독점권에 공공연히 반기를 들기도 했다. 1737년 영국의회는 의회 승인을 거치지 않은 찰스 2.. 2023. 7. 17.
영국 왕정복고기의 연극 영국 왕정복고기의 시대적 순서 연극사 1. 공화정 의회 폐쇄(1642) 2. 대버넌트의 '러틀랜드 가에서의 첫날 연희', '로도스 섬의 포위공격' (1656) 3. 대버넌트와 킬리그루의 극단의 특허 취득(1660) 이때, 여성단원이 영입되어 섬세한 연기가 시작되었고 연기술이 바뀜 4. 링컨스인 필즈 극장(1661) 5. 일류 배우, 토마스 배터튼 등장(1662) 6. 도셋 가든 극장 건립(1671) 7. 드루어리 레인 개관(1674) 오페라의 유령 배경지 8. 위철리 '촌 색시' 발표(1675) 9. 드라이든의 '모두가 사랑 때문에' 발표 (1677) 10. 애프라 벤의 '표박자' 발표 (1677) 애프라 벤은 여성 최초의 극작가 11. 오트웨이의 '수호된 베니스 발표(1682) 12. 배우 넬 귄 등장.. 2023. 7. 16.
엘리자베스 시대의 공설극장과 사설극장 공설극장 또는 실외극장 엘리자베스 시대 공설극장은 곰 놀리기 원형 마당 또는 여인숙 앞마당이 공연을 위해 개조되면서 진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인숙 앞마당의 경우, 여인숙 구조물로 둘러싸인 앞마당 공터가 공연 공간으로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공설극장은 공연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이며, 성인 전문극단들이 주로 사용한 극장이었다. 제임스 바버지(James Burbage, 셰익스피어 시대의 최고의 배우로 꼽히는 리처드 버비지의 아버지)가 1567년 영국 최초로 붉은 사자 극장이라는 실외극장을 운영했다. 공설극장들은 템스 강을 가로지르는 런던 시계 남쪽과 북쪽 외곽에 터를 잡았는데, 그 이유는 런던의 성직자들이 연극을 부도덕한 것으로 몰아 반대하면서, 런던 시내에서의 공연을 금했기 때문이다. 그 반대편에.. 2023. 7. 15.
프랑스 신고전주의 연극 그리고 몰리에르 배경 : 16세기와 17세기의 프랑스 16세기 프랑스의 사회불안은 신교도 내의 위그노파(Huguenot)와 구교파 세력 간에 벌어진 시민 종교 전쟁에서 야기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지루한 내란은 1594년이 되어서야 마침내 종결되었고, 프랑스 국왕 앙리 4세는 1589년에 즉위할 당시에는 신교도였으나 후에 구교도로 개종했다. 앙리 왕은 비록 신교도는 포기했지만 낭트 칙령을 포고함으로써 종교 분쟁을 종식시켰다. 이것은 혁명적인 선언으로 신교도가 아닌 사람들, 특히 위그노파들에게 프랑스 법령이 인정하는 평등과 관용을 허락했다. 이로써 프랑스 사회는 17세기에 마침내 안정과 번영을 이루게 되었는데, 특히 루이 14세가 통치한 1643년에서 1715년까지가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번성기의 예이다. 프랑스의 정치와.. 2023. 7. 14.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연극 그리고 윌리엄 셰익스피어 영국 르네상스 초기의 연극 16세기 3/4, 4/4분기 동안 꾸준히 발전을 거듭한 연극은 엘리자베스 시대의 폭발적인 연극예술 활동의 초석이 되었다. 헨리 7세와 헨리 8세 때, 여흥을 목적으로 쓰여 전문 배우들에 의해 무대화된 막간극(interlude)들이 궁정이나 귀족들의 저택에서 상연되었고 한편, 1500년경 초반부터 1580년까지 영국 학교연극(school drama)이 점차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이와 같은 학교연극은 대학 출신의 집필로 일반 관객보다는 대학 및 학교 교정에서 상연되었는데, 주로 고대 그리스극과 로마극, 그리고 중세극의 극작술 등에 두루 영향을 받았다. 교정 내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한 연극의 인기는 후에 소년 연극다(boy's acting companies)으로 발전하게 되는 초석이.. 2023. 7. 14.
이탈리아 르네상스 신고전주의 신고전주의 사상 르네상스 이탈리라에서 쓰인 드라마가 역사적으로 제한된 중요성밖에 갖지 못한 반면에, 이탈리아의 극 비평은 그보다 훨씬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신고전주의사상(neoclassical ideals)으로 알려진 이탈리아 비평가들이 제정한 규칙들은 향후 200년간 유럽의 연극이론을 지배하게 된다. 신고전주의자들은 자신들이 극작가드로 하여금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들을 모방하게 만드는 규칙을 제정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사상이 그리스와 로마의 작품을 검토하는 데에서 파생된 것이라는 점과 아리스토텔레스와 호레이스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거시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들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 어려운 점이 없지 않은데, 그 이유는 신고전주의자들이 제정한 규칙들이 아리스토텔레스보.. 2023. 7. 13.
이탈리아 르네상스 장면 디자인 및 극장 무대 기법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진보적인 장면 디자인은 극장 건축 못지않게 중요하다. 역시 이탈리아 사람들은 극장디자인 영역까지 다루고 있는 로마의 건축교재,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의 재발견에 고무되어 무대디자인 영역의 발전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1400년대 말엽 이탈리아의 초기 디자이너들은 로마의 무대와 비트루비우스가 제시한 비극, 희극, 그리고 사티로스 연극의 무대 장치를 재건하려고 노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장면 디자인에 응용된 원근법 장면 디자인의 영역에서 가장 혁신적인 점은 르네상스 회화에 중요한 일부였던 원근법의 응용이다. 원근법을 사용함으로써 무대 위의 장면들은 백드롭(backdrop) 같이 평면으로 된 배경막에 그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삼차원적으로 입체감을 냄으로써 환각성을 더 할 수 있었다. 세바.. 2023. 7. 12.
중세유럽의 연극 도덕극과 세속극 도덕극 도덕극의 특징 1. 우의적인 등장인물들을 통해서 도덕적 교훈을 주려고 한다. EX) Every man이라는 작품 2. 우의적 수법 속에, 등장인물들은 각각의 개념을 상징 한 등장 인물은 자비를 상징하고, 다른 인물은 고결을 상징하고, 또 다른 인물은 탐욕을 상징하는 등의 수법이다. 3. 등장 인물들은 종종 여정을 떠나며, 여행을 통해 도덕적 교훈을 배우게 된다. 그리하여 몇몇 학자들은 도덕극을 여정극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4. 주인공은 평범한 남자와 여자다 5. 마음속에서 선과 악이라는 두 가지 힘 사이의 투쟁에 관한 내용이다. 6. 주제는 죽음의 불가피성이며 죽음 앞의 인간의 모습을 드러내려 한다. (아이러니한 모습) 에브리맨 에브리맨은 가장 인기 있는 도덕극의 한 예이다. 이 극에서, 등장인물.. 2023.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