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전주의 사상
르네상스 이탈리라에서 쓰인 드라마가 역사적으로 제한된 중요성밖에 갖지 못한 반면에, 이탈리아의 극 비평은 그보다 훨씬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신고전주의사상(neoclassical ideals)으로 알려진 이탈리아 비평가들이 제정한 규칙들은 향후 200년간 유럽의 연극이론을 지배하게 된다.
신고전주의자들은 자신들이 극작가드로 하여금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들을 모방하게 만드는 규칙을 제정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사상이 그리스와 로마의 작품을 검토하는 데에서 파생된 것이라는 점과 아리스토텔레스와 호레이스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거시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들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 어려운 점이 없지 않은데, 그 이유는 신고전주의자들이 제정한 규칙들이 아리스토텔레스보다 훨씬 엄격할 뿐만 아니라, 그 규칙들의 수도 더 많고 또 적용도 한층 엄밀하기 때문이다
디코럼과 베리시밀리튜드(적합성과 핍진성)
신고전주의 사상 중에 디코럼(decorum, 적합성 또는 어울림)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용어는 연극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자신의 나이, 직업, 성별, 그리고 계급 등에 걸맞은 행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보다 더 중요한 신고전주의의 사상은 바로 베리시밀리튜드(verisimilitude, 핍진성 또는 박진감)로 이는 모든 연극이 '실제 인생에 충실한' 것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유령, 허깨비, 그리고 초자연적인 사건 등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므로 그 사용을 원천적으로 금했다.
삼일치의 법칙 : 시간, 공간, 그리고 행동
베리시밀리튜드를 지키고자 하는 신고전주의자들의 열망에서 비롯된 가장 유명한 규칙으로는 삼일치의 법칙이 꼽히는데, 이는 곧 시간, 공간 그리고 행동의 일치를 말한다. 이 법칙을 제정한 사람은 당시의 비평가 카스텔베트로이다.
시간의 일치(unity of time)는 한 편의 연극에서 일어나는 연극적 행동이 24시간을 초과해서는 안된다는 규칙이다. 소수급진파 신고전주의자들은 12시간을 초과해 서는 안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보다 더 급진적인 신고전주의자들은 한 편의 연극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실제 공연되는 시간이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들의 주장은 관객들이 긴 시간이 흐르는 사건을 '진실'에 가까운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신념에 기초한다.
공간의 일치(unity of place)는 한편의 연극이 펼쳐지는 장소가 한 곳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도시 내에서 여러 장면을 극화하는 것을 허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규칙의 근거는 관객들이 극장이라는 제한된 공간 안에 한 장소 이상의 장소가 재현된다면 그 '사실성'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데에 근거를 둔다.
행동의 일치(unity of action, 역주: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제안된 유일한 규칙이다)는 하나의 중심 이야기만 사용해야 한다는 것으로, 따라서 상대적으로 소수의 등장인물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것은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서 발견하는 것과 같은 부 플롯을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리어왕'은 주인공인 리어왕과 세 딸 간의 이야기로 펼쳐지는 주 플롯과 글로스터 백작과 그의 두 아들 간의 이야기로 전개되는 부 플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르와 기타 규칙들
1. 비극은 왕족을 다루어야 한다.
2. 희극은 일반 평민을 다루어야 한다.
3. 비극은 재앙으로 결말이 나야 하고, 희극은 행복한 결말이어야 한다.
4. 두 장르는 혼합되서는 안된다.
5. 연극은 도덕적인 교훈을 가르치는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그러므로 모든 드라마는 교훈적이어야 한다.
6. 등장인물들은 자신의 신분에 따라 격이 있어야 한다.
7. 무대 위에서의 잔혹한 행위는 금지되어 있다.
8. 신고전주의자들은 로마의 연극적 관행을 비난하며 금지했다.(예시로 데우스 엑스 마키나와 코러스를 추방했다)
9. 독백사용을 금지했다.
드라마의 형식 : 신고전주의적 구성
수세기 동안 비평가들이 집착해 온 세 번째 쟁점은 드라마의 형식에 관한 것이다.
이탈리아의 신고전주의 비평가들에 의해 시작된 이 논쟁은 그대로 프랑스 아카데미로 이어지게 되는데, 베리시밀리튜드(핍진성)와 삼일치의 법칙(시간, 공간 그리고 행동의 일치) 등 신고전주의자들이 주장한 엄격한 극 구성상의 규칙들이다.
셰익스피어를 비롯한 영국 엘리자베스 시대의 극작가들과 로페 데 베가(Lope de Vega)를 위시한 스페인 극작가들은 삽화적 구성이라는 전혀 다른 극구성으로 작품을 썼다. 로페 데 베가는 자신의 극구서에 대하여 영감 어린 옹호란을 폈으며, 18세기 독일의 비평가 고톨드 레싱(Gotthold Lessing)은 신고전주의의 규칙들에 회의를 품고 셰익스피어의 극작술을 찬양했다. 신고전주의자들의 극 구성에 대한 쟁점은 수백 년 동안 격론을 불러일으켰지만, 교훈주의에 대한 논쟁과는 달리, 19세기로 접어들면서 잠잠해지게 된다.
연극 비평의 쟁점
서양의 연극 역사를 살펴보면, 연극 이론이 크게 세 갈래로 나뉘게 되는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이 세 가지 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 호레이스, 그리고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주요 연극이론과 비평가들의 논저에 서 비롯된 것들이다. 이러한 쟁점들이 서양 연극 비평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쳐왔다.
'문화 예술 > 연극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 신고전주의 연극 그리고 몰리에르 (0) | 2023.07.14 |
---|---|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연극 그리고 윌리엄 셰익스피어 (0) | 2023.07.14 |
이탈리아 르네상스 장면 디자인 및 극장 무대 기법 (0) | 2023.07.12 |
중세유럽의 연극 도덕극과 세속극 (0) | 2023.07.12 |
중세 유럽의 연극 (0) | 2023.07.11 |